Scroll to top

[협업의 시작]

아시다시피 벌써 LAH가 만나 일을 한지 1년이 넘었습니다.
이전 Lahibrary 에서 LAH가 협업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툴을 소개한적이 있습니다.

이제 개발팀의 협업이 시작되었습니다.
Git flow를 정하고 CI/CD에 대한 얘기를 나누고 현재 개발중인 서비스에 적용해서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진행 방식은 스크럼을 사용해보기로 했습니다.

여러 가이드라인이 있지만 결국 문화를 만드는 것이니, 새로운 팀원이 와도 적응할 수 있도록
문서화와 룰을 정리하는 것도 신경쓰고 있습니다.

Git flow를 의논하면서 Git FlowGithub-Flow 도 참고를 했고, 지난 회사에서 겪었던 경험들을 활용했습니다.
지난 회사는 솔루션(제품)을 개발하는 회사여서 태깅작업이 중요했고, 고객사 별로 버전관리도 해야했습니다.
CI도 중요했지만 버전이 전부 다르기 때문에 향후를 위한 패치 작성과 릴리즈시 릴리즈 노트도 상대적으로 매우 중요했죠.

현재 LAH에서 개발중인 것은 제품이라기보다 서비스에 가깝습니다. 따라서 이에 맞고, 현재 개발팀에 적합한 Git flow가 필요해졌습니다.
그래서 Git Flow와 유사하지만 필요없을 것 같은 브랜치를 없애고 시작하기로 했습니다.
릴리즈 노트도 물론 작성해야하지만, 우선 시간을 내어 작성하기보다 MR의 타이틀을 리스트업하기로 했습니다.
사실 이렇게 하면 MR 타이틀을 잘 작성하게 되지 않을까 기대도 하고 있습니다.

리모트에 master, release, develop를 유지하고 hotfix는 브랜치보다는 정책으로서 어떻게 릴리즈에 반영할지 정했습니다.
WIP 일감에 대해 MR을 미리 올리고 리뷰하는 과정도 공식적인 개발 절차로 정했습니다.
현재까지 리뷰를 하고 있는데, 절차로서는 잘 동작하고 있지만.. 리뷰에 대한 룰도 아직 잡히지 않아 시행착오도 있습니다.

협업을 위한 여러 준비를 하고, 이제 막 2주를 진행해보니 앞으로 정해야할 것들이 산더미입니다.
아직 테스트코드 범위에 대한 룰도 논의만 되고, 결정된건 없으니 정말 갈길이 많이 남았다는게 보입니다.

어쩌면 개발과 이러한 논의의 순서가 잘못된것 같지만, 필요성에 대한 팀의 인식과 꾸준한 노력도 있으니
오히려 탄탄한 조직이 될 것 같아 설레기도 하네요.

CI/CD까지 확립이 되면 LAH의 개발 흐름을 그릴수 있을 것 같습니다.
얼른 그날이 오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