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roll to top

운명에 대하여

비디어스 운영 종료를 하면서,
서비스의 운명은 정말 알다가도 모를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지금껏 운영 종료 후보 서비스 1순위는,
필름업이었기 때문입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필름업은 돈을 벌 수 있는 서비스가 아닙니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독립영화를 소비하지도 않거니와, 영화제를 다니는 사람도 적습니다.
한국에서 제일 큰 영화제는 부산국제영화제인데요.
작년 관객수가 14만명 정도라고 합니다.
물론 관객수 자체만 놓고 보면 많지만,
방문자 대비 유효고객 비율이 평균적으로 3%임을 감안하면,
4천명 정도가 되겠네요.
4천명이 매월 만 원을 쓴다고 가정하면 4천만 원을 버는 건데요.
회사가 4천만 원만 벌면 안 되는 거잖아요.. (눈물)

이 외에도 여러 이유가 있었지만..
어쨌든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분명한 비디어스가 디벨롭되어왔습니다.
나름 스타트업 유행에도 맞아떨어지는 아이템이었어요.
날카로운 소구점을 잡기에도 좋았고요.
애자일하게 개발할 기능도 있었고요.
퍼널도 만들 수 있을 만큼 마냥 단순하지도 않았습니다.
이에 더해 영상 시장에 혁신을 가져다줄 수 있다는 의의까지 있으니,
선택받지 아니할 수 없었습니다.

그렇게 장장 4년을 넘게 끌고 왔습니다.
운영해오는 내내 우리가 원하는 수치만큼 수익을 내지 못했지만,
청사진을 바라보면서 해왔어요.
생존을 위해 다른 프로젝트와 병행하면서,
비디어스에만 집중을 했다면 결과가 달랐을 거라고 위안하면서,
느리게 갈 뿐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시간이 지나서.. 라기보다는 아마 성장한 거겠죠?
우리 서비스들의 근본을 들여다보기 시작했습니다.
우리가 만들고 있는 서비스들은 의식주에 맞닿아 있지 않습니다.
당연히, 당연하게 필요한 것들이 아니지요.
없어도 충분히 살 수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쓸모를 증명해야 합니다.
아, 증명보다는 더 적극적이어야 하네요.
쓸모 있다고 세뇌해야 합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필름업이 훨씬 규모가 더 큰 프로젝트입니다.
그래서 필름업에 더 힘을 쏟아 보자는 결론이 났습니다.
수익성은.. 당장은 모르겠지만.. 어쨌든 이것도 비디어스보다 클 수 있을 것이라는 느낌적인 느낌이 듭니다.
그렇게 되도록 만들어야죠.
판단 기준이 오롯이 눈앞의 돈이 아니게 된 것이, 이런 선택을 하게끔 우리를 이끌었습니다.
또 이렇게 보면 운명은 선택할 수 있는 듯 보입니다.

필름업은 지금보다 범주가 넓어질 예정입니다.
처음 필름업을 만들 때 스타트업 유행이라고 해야 할까요.
그 시절의 기조는 소구점을 좁게 만들어 코어 고객을 락인시키면,
더 큰 파이가 자연히 흘러들어 온다고 했었습니다.
그때는 분명히 이게 압도적인 방법론이었는데요.
5년이 지난 지금, 당시 잘 나갔던 회사들이 안 보여요.
필름업도 여전히 자리를 잡는 중이고요.

관 뚜껑을 덮기 전에는 아무것도 알 수 없다더니.
이래서 강한 자가 살아남는 게 아니고 살아남은 자가 강하다는 평가를 받나 봐요.
비디어스를 보내면서 느끼는 허전함은, 필름업에다 채워 넣을 예정입니다.
필름업의 운명은 어디로 흐를까요.
부디 지금의 선택이 옳은 선택이었다고 말할 수 있게 되길!


LAH의 소식

🦁 LAH의 블로그 LAHibrary는 매주 수요일 업데이트 됩니다.
더 많은 라이브러리 읽으러 가기


🏞 LAH의 일상이 궁금하시다면?
LAH 인스타그램 둘러보기

LAH의 서비스

내 포트폴리오도 만들고 구인구직까지 가능한, 영상 창작자 매칭 플랫폼
비디어스(Vidius) 둘러보기


🗓 한국 영화제 일정 및 정보를 한눈에 보고 싶으시다면?
🎞 내 영화를 온라인에서 판매하고 싶다면?
🍿 그동안 만나보지 못했던 나만의 영화를 디깅하고 싶다면?
필름업(FILMUP) 둘러보기


📷 촬영장비 렌탈, 한 번에 검색하고 싶으시다면?
장비모아 둘러보기